기축통화의 뜻 그리고 미국 달러

기축통화의 뜻 그리고 미국 달러

기축통화(Key Currency)는 국제 무역 및 금융 거래에서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통화를 의미합니다. 기축 통화는 전 세계적으로 신뢰받고 사용되기 때문에, 각국은 외환 보유고를 기축 통화로 유지하여 국제 거래와 경제 안정성을 확복합니다. 미국 달러(USD)가 대표적인 기축 통화로, 세계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기축 통화의 특징은 그 나라가 정치적, 경제적으로 안정되어 있으며, 그 통화가 전 세계적으로 쉽게 거래되고, 외환 시장에서의 유동성이 높다는 점입니다.

미국 달러는 어떻게 기축통화가 되었는가?

미국 달러가 기축통화로 자리 잡은 이유는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브레튼우즈 체제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1944년,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은 미국 달러를 금에 고정하고, 다른 모든 국가의 통화를 달러에 연동시키는 브레튼우즈 협정을 체결했었습니다. 그 당시 미국은 세계 경제의 중심이었고, 금 보유량도 매우 많았습니다. 그래서 미국 달러는 안정성과 신뢰성을 얻으며 기축 통화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브레튼우즈 체제는 1971년에 종료되었지만, 이후에도 미국 달러는 세계 최대 경제인 미국의 영향력 덕분에 기축 통화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석유를 비롯한 주요 자원릐 거래가 대부분 달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달러는 세계 경제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기축통화를 보유한 나라의 이점과 문제점

기축 통화를 보유한 나라는 여러 가지 경제적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가장 큰 이점은 자국 통화를 발행하는 것만으로 국제 무역에서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미국이 통화 발행을 통해 부채를 상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달러에 대한 수요는 끊이질 않기 때문에 미국은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축 통화국이 마주하는 문제점도 존재합니다. 달러의 글로벌 수요는 미국 내에서 무역 적자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을 때, 다른 나라들이 미국에 달러를 벌어들이기 위해 미국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구조가 만들어집니다. 또한, 미국이 기축 통화를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은 자칫 과도한 통화 발행을 유발할 수 있어, 자국 내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가능성도 있습니다.

기축통화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

기축 통화는 세계 경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많은 국가들이 국제거래와 왜채상환을 위해 기축 통화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국제 금융 시장의 신뢰를 높여줍니다. 특히, 경체 불안정 시기에 기축 통화는 안전 자산으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글로벌 금융 위기나 정치적 불확실성의 시기에는 많은 투자자들이 달러화 자산으로 자금을 옮기면서 환율 변동이 발생합니다.

기축 통화는 금리와 환율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기축 통화를 보유한 국가는 국제 금리 변화에 더욱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세계적인 자본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달러화 금리가 상승하면, 많은 신흥국이 자본 유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다른 통화가 기축통화가 될 가능성, 위안화

위안화(CNY)가 기축통화가 될 가능성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입니다. 중국은 세계2위의 경제 대국으로, 글로벌 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큽니다. 중국 정부는 위안화를 국제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2016년 IMF는 위안화를 SDR(특별인출권)바스켓에 포함 시키면서 기축통화로서의 역할을 인정했습니다. SDR은 여러 나라가 외환 보유고로 사용할 수 있는 주요 통화들의 묶음으로, 여기에 포함된 통화는 국제 무역과 금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위안화가 세계적으로 중요한 통화로 인정 받았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달러를 대체하기에는 한계가 많이 있습니다. 먼저, 중국은 자본 시장 개방이 아직 충분하지 않아 보입니다. 그러므로 위안화의 환율 변동성에 대한 신뢰가 낮습니다. 또한, 중국의 정치적 체제와 통화 정책의 투명성 부족도 위안화가 세계적으로 더 널리 사용되는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마무리를 하며

기축통화는 세계 겨제의 중심 역할을 하며, 미국 달러가 오랜 시간 동안 그 위치를 유지해 왔습니다. 기축통화국은 여러 가지 경제적 혜택을 누릴 수 있지만, 동시에 무역 적자와 통화 남발 등의 문제도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위안화 같은 다른 통화들이 기축통화로 자리 잡을 가능성은 있지만, 현재로서는 달러의 강력한 지위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글로벌 경제 변화에 따라 기축통화 체제에 대한 논의는 계속될 것입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1997년 외환위기 IMF 그리고 대한민국 – Hee International Trade (heetrade.co.kr)

Leave a Comment